일상3 에세이) #13. 주말엔 좀 쉬었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19"로 일상이 마비된 요즘, 아이가 있는 집의 주말은 더욱 분주해졌다. 집안에만 갇혀 있던 아이들의 짜증은 목요일에 최고조에 달한다. 마치 김빼기 직전의 압력밥솥처럼 아이들의 행동은 묘한 긴장감을 준다. 밥솥 안에 가득찬 증기를 감당못한 아이들은 작게 삐집어진 틈사이로 연신 증기를 뱉어내며 달그락 거리는 소리가 요란하다. 금요일 특유의 안도감이 없었다면 분명 요란하게 폭발했을 터였다. 때문에 우리부부는 주중에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기도 전에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주기위해 고군분투 하는 중이다. 지난 금요일에도 아이들은 현관문에 들어선 나에게 쪼로록 달려와, 내가 신발을 벗기도 전에 커다란 질문을 날렸다. "아빠. 내일은 우리 어디가요? 네?" 똘망똘망한 눈망울과 귀여운 표정을 무기로 가진 .. 2020. 3. 25. 에세이) #12. 쓰고싶은 것을 쓰자 (글쓰기 1) 소설을 쓰다 보면 막힐 때가 많다. 에쎄이의 경우는 내 의식의 흐름대로 쓰는 것이라 작성이 쉽지만, 쓰고 있는 소설의 경우는 내가 아닌 캐릭터들의 입장을 대변해야 하기에 조금만 방심하면 흐름이 끊기기 일수다. 글쓰는 시간이 불규칙한 것도 크게 한 몫을 한다. 전업작가의 경우엔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놓고 글을 쓰기때문에 쉽게 몰입하여 글을 쓸 것이다. 하지만, 나 같은 겸업작가의 경우엔 주업(主業)으로 하루의 절반을 소비하기 때문에 남은 시간동안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몰입의 시간을 갖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아직 글쓰기 경력이 짧은 나는 이러한 난제들을 풀어내는 근육이 부족해 소설쓰기를 이어가지 못하는 날이 많았다. 그렇게 버려지는 시간이 아까워 에세이를 시작했다. 소재를 찾고, 개요를 짜고(혹은 의식.. 2020. 3. 24. 에쎄이) #11. 실체 없는 "코로나19"의 공포 월요일이 밝았다. 이른 아침을 먹고 1시간 거리의 회사에 출근하기 위해 차에 올랐다. 집에만 갇혀 있던 아이들과 놀아주느라 주말에 힘을 다 써버린 탓인지 컨디션이 좋지 않았다. 불과 몇 달전만해도 키즈카페나 롤러장, 극장이나 어린이 박물관과 같은 실내시설에서 주로 시간을 보냈다. 날씨가 추웠던 탓도 있지만, 전문시설의 아이들 전용 프로그램 힘을 빌리기 위해서이다. 주5일 힘겹게 일하느라 지쳐버린 몸뚱이로는 아이들의 무한체력을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실내의 모든 활동이 금지된 요즘은 이마저도 쉽지 않다. 실내활동 뿐만 아니라 야외활동도 부담스럽지만, 1주일 내내 집에만 갇혀 있던 아이들을 주말에도 집안에 두기는 너무나도 미안했다. 그래서 토요일은 가까운 공원으로, 일요일은 구석에 쌓.. 2020. 3. 23. 이전 1 다음